해선라이브

[2/17,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매크로가 만들어내는 차별화 장세”

1
홍콩
2025.02.17 추천 0 조회수 1335 댓글 0
공유

[2/17,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매크로가 만들어내는 차별화 장세”

-------

<Weekly Three Points>

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미국 증시는 관세 불확실성 속 1월 소매판매 쇼크, 산업생산 호조 등으로 혼조세 마감(다우 -0.37%,  S&P500 -0.01%, 나스닥 +0.41%).

b. 관세에 대한 트럼프의 말 바꾸기 행보는 주중 증시의 변동성을 계속 만들어 내겠지만, 실제 관세 부과 수위는 증시 방향성을 훼손시킬 정도로 진행되지 않을 것

c. 국내 증시는 단기 상승에 따른 피로도가 일시적으로 누적되어 있는 만큼, 이번주에는 숨고르기 장세 속 개별 업종 및 종목 별 차별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

0.

한국 증시는 1) 트럼프 관세 뉴스 플로우, 2) 1월 FOMC 의사록 및 시카고 연은 등 연준 인사들 발언, 3) 주요국 제조업 PMI, 한국의 2월 수출(~20일) 등 주요 기업 실적, 4) 월마트, 삼성생명 등 국내외 기업 실적 등에 영향 받으면서 개별 업종 장세를 보일 전망(주간 코스피 예상 레인지 2,540~2,650pt).

1.

14일(금) 미국 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 1월 소매판매 쇼크, 산업생산 호조 등 주요 실물 지표간 혼재된 결과, 단기 차익실현 물량 등으로 장중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못한 채 혼조세로 마감(다우 -0.37%, S&P500 -0.01%, 나스닥 +0.41%).

이날 발표된 미국의 1월 소매판매는 -0.9%(MoM)으로 전월(+0.7%)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전환했으며 컨센(-0.2%)도 큰 폭 하회. 근원 소매판매(-0.4% vs 컨센 +0.3%) 역시 쇼크를 기록하는 등 1월 미국의 소비 모멘텀이 둔화된 모습.

물론 1월 한파, LA 화재, 관세 부과 전 선제적 제품 구입 수요 등 일시적인 요인이 개입된 측면이 존재한 만큼, 미국 경기의 냉각, 혹은 침체 전조 등으로 해석하는 것은 시기상조.

2.

이보다는 미국 고용시장 둔화, 초과저축 감소,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 하락 등을 고려하면, 그간 미국 금리와 달러 강세의 한 축을 담당했던 미국 경기 독주 or 골디락스 내러터브의 약화로 보는 것이 타당.

(ex: 14일 소매판매 발표 이후, 애틀랜타 연은의 1분기 GDP 전망치는 기존 2.9%에서 2.3%로 큰 폭 하향)

이는 상반기 내내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매파적인 시장의 컨센서스에 가변성을 부여해 나가는 요인이 될 전망.

같은 맥락에서 주중 예정된 월마트의 실적은 2월 소매판매 발표 전 소비 경기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만큼, 해당기업 실적도 주목할 필요.

3.

월마트 이외에도, 아리스타 네트웍스, 삼성생명 등 국내외 기업 실적 이벤트도 주중 대기하고 있으나, 실적시즌 자체가 종반부에 진입했기에 이들 실적의 증시 영향력은 제한될 전망.

여전히 증시를 장악하고 있는 관세 정책의 경우, 지난주 중반 트럼프가 상호관세 및 품목별 관세 부과 시점을 구체화한 상황.

동시에 트럼프는 지난 금요일에 자동차 품목에 대한 관세(4월 2일 예정)를 추가할 것이라고 발표하는 등 관세 윤곽이 잡혔음에도, 디테일에 변화를 계속 주면서 상대국가들의 혼선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

지난주 후반 국내 자동차, 이차전지 업종의 주가 강세는 관세 예외 기대감에서 기인했다는 점을 감안 시, 주 초반 관세 민감 수출주 중심으로 증시 변동성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트럼프 발 악재가 만들어내는 주가 하방 압력이 억제되고 있다는 점은 관세에 대한 주가 저항력이 생성되고 있음을 시사.

이를 감안시, 트럼프가 부과하려는 관세 수위가 향후 증시 방향성을 훼손시킬 정도로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

4.

매크로 측면에서는 연준의 트럼프 관세 정책 및 인플레이션 전망 변화가 관전 포인트가 될 것.

파월 의장은 지난주 상하원 청문회에서 관세에 대한 영향력 평가를 따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2월 이후 시카고 연은 총재 등 여타 인사들은 관세발 인플레이션 우려를 표명해오고 있는 상황.

이런 측면에서 1월 FOMC 의사록, 개별 연준 총재들의 발언에 시장의 관심이 모아질 전망.

현재 코스피도 단기 상승에 따른 피로도가 일시적으로 누적되어 있는 만큼, 주중 트럼프 관세 및 연준 이벤트를 치르면서 지수 숨고르기 장세 속 개별 업종 및 종목 별 차별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WDetailView?sqno=720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51021
추천 0
2024.09.27

★★02월 19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3031
추천 0
2025.02.19

2025년 2월 19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항셍왕
조회수 2112
추천 0
2025.02.19

요기요, 강남서 로봇 배달…배민과 '정면 승부'

1
항셍왕
조회수 1981
추천 0
2025.02.19

“수천억 세금 아껴야죠”…세무조사 거부해도 과태료 내면 그만

1
항셍왕
조회수 1149
추천 0
2025.02.19

(2/19)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1
홍콩
조회수 1307
추천 0
2025.02.19

02/19 미 증시, 13F의 영향을 비롯해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여파에도 강보합 마감

1
홍콩
조회수 2357
추천 0
2025.02.19

💌 이 시각 헤드라인

1
홍콩
조회수 2707
추천 0
2025.02.19

📢 2025년 2월 19일 주요 뉴스 요약

1
홍콩
조회수 1428
추천 0
2025.02.19

[뉴욕증시 상승]

1
홍콩
조회수 2193
추천 0
2025.02.19

[02월 18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1
홍콩
조회수 2093
추천 0
2025.02.18

2025년 2월 18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항셍왕
조회수 1401
추천 0
2025.02.18

📮 25년 2월 18일 화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1
항셍왕
조회수 1392
추천 0
2025.02.18

★★02월 18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1638
추천 0
2025.02.18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2월 18일)

1
항셍왕
조회수 1519
추천 0
2025.02.18

2024년말 가계빚 ‘역대 최대’… 주담대 안정화 추세

1
항셍왕
조회수 1772
추천 0
2025.02.18
1 2 3 4 5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