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미래에셋증권 김석환>
(2/17)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메타의 기록적인 상승, 나스닥 지수 견인
# Key Takeaways
- 다우존스 -0.4% 하락, 나스닥 +0.4% 상승
- 미국 소매판매 0.9% 감소, 경기 둔화 우려 증가
- 메타 나스닥 구성 종목 최장 상승 기록
# Summary
미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혼조세로 마감함.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37% 하락한 44,546.08로 마감하며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임. 반면 나스닥 종합지수는 0.41% 상승한 20,026.77로 마감하며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나타냈음. S&P500 지수는 소폭 하락한 6,114.63을 기록했으며, 러셀 2000 지수는 0.10% 하락한 2,279.98로 마감함.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에 주목했으나, 상호관세가 즉시 시행되지 않고 4월 1일까지 유예됨에 따라 부분적으로 안도함. 한편, 주요 기술주 가운데 메타 플랫폼은 20거래일 연속 상승을 기록하며 주가 강세를 이어갔으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음. 추가로, 1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9% 감소한 점이 소비 심리 위축의 원인으로 지적되었고,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로 해석되기도 하였음. 이러한 경제 지표 및 정치적 불확실성이 조화되어 혼조된 시장 흐름을 지속함. (다우 -0.4%, 나스닥 +0.4%, S&P500 -0.01%, 러셀2000 -0.1%)
# 특징종목
엔비디아(+2.6%)는 자사의 기술 주식에 대한 지분 공개로 기술 섹터 전반에 긍정적인 활기를 불어넣었음. 이러한 투자 발표는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짐. 반면, 테슬라 (-0.03%)는 투자자 Ron Baron의 전략적 움직임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계획 보류 소식으로 주가 하락을 기록함. 메타 (+1.1%)는 AI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투자 계획을 발표하여 기술 확장과 관련된 긍정적인 예측을 끌어내어 상승세를 이어갔음. 에어비앤비 (+14%)는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 보고서를 공개하며 2021년 이후 가장 큰 주가 상승폭을 기록, 투자자 신뢰가 강하게 반영되었음. 모더나 (+3.4%)는 예상보다 큰 손실을 발표했으나, 여전히 장기적인 성장 전망이 높이 평가되어 주가는 상승함. 이러한 특징 종목들은 각기 다른 전략과 발표로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상승세와 하락세를 나타냄.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소매 판매 감소와 연준의 완화적 금리 정책 전망 속에 4.48로 하락함. 이는 미국 소비의 둔화 우려와 관련, 채권 수요가 증가한 결과임. 국제적으로는 대부분의 주요 국채 수익률이 소폭 하락하거나 미세한 변동을 보였으며, 영국(4.51), 일본(1.36), 독일(2.44) 등의 수익률이 안정된 모습을 보임.
외환 시장에서 달러인덱스(DXY)는 106.78로 0.5% 하락, 이는 미국 소매 판매 부진에 따른 달러 약세로 해석됨. 유로(EUR)는 1.05로 0.27% 상승했고, 영국 파운드(GBP), 호주 달러(AUD) 등 주요 통화 역시 강세를 보임.
상품 시장에서는 WTI 원유가 하루 동안 0.9% 하락한 70.68 달러를 기록, 원유 시장 역시 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수요 감소를 반영함. 금값은 $2,883.53로 하루 동안 1.6% 하락, 이는 달러 가치의 변화와 맞물려 나타난 움직임임. 다른 금속 중에서는 구리가 2.9% 하락하는 등 전반적인 상품 가격의 상승세가 제한됨.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