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라이브

“관세, 딥시크, 고용 등 대형 이벤트의 한 주”

1
홍콩
2025.02.03 추천 0 조회수 551 댓글 0
공유

[2/3,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딥시크, 고용 등 대형 이벤트의 한 주”

-------

<Weekly Three Points>

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12월 PCE 물가 컨센 부합에도 트럼프의 관세 소식에 장 초반의 상승폭을 모두 반납하며 하락 마감(다우 -0.8%, S&P500 -0.5%, 나스닥 -0.3%)

b. 관세 부과의 현실화는 피할수 없게 되었으나, "미국의 관세 부과 -> 타 국가의 보복 대응 -> 추가 관세 부과 -> 무역분쟁 전면 확산”과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주가에 반영하기엔 시기상조

c. 국내 증시는 미국발 불확실성(트럼프 관세, 고용 등)에 노출되면서 변동성은 높아지겠으나, 주가 복원력으로 인해 지수 하단은 제한된 채 업종 별 차별화 장세를 연출해 나갈 전망

-------

0.

한국 증시는 1) 트럼프 관세 뉴스 플로우 확산 여부, 2) 미국의 1월 고용, ISM 제조업 PMI 등 주요 경제 지표, 3) 주요 연준 인사들의 발언, 4) 아마존, 알파벳, 팔란티어 등 미국 빅테크 실적, 5) HD현대중공업, KB금융 등 국내 주요 기업 실적 이벤트에 영향 받으면서 업종 간 차별화 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주간 코스피 예상 레인지 2,450~2,580pt).

-------

1.

금요일 발표된 미국의 12월 PCE 물가는 헤드라인(YoY 2.6%, 컨센 2.6%), 코어(YoY 2.8%, 컨센 2.8%) 모두 예상에 부합.

1월 FOMC 성명서 상 “2% 인플레 목표” 문구를 삭제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증시 민감도가 높아진 상태였기에 12월 PCE 결과는 안도감을 제공할 법했으나, 트럼프의 관세 부과 소식이 이날 장중 미국 증시의 하락을 초래.

트럼프는 2월 4일에 멕시코와 캐나다에게는 25%, 중국에게는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철강, 알루미늄, 구리는 2월 말~3월, 원유와 가스는 2월 18일 예정).

엔비디아 젠슨황 CEO와의 회동 이후에도 AI 기술 수출 통제 의지를 피력한 가운데, 관세가 미치는 시장 반응은 개의치 않는다는 식의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다는 점도 주중 증시에 고민거리로 부상할 것.  

2.

이 같은 트럼프의 관세에 캐나다는 약 1,000억달러 품목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했으며 멕시코와 중국도 보복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언급하는 등 이번주는 관세가 증시 변동성의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

다만, 상기 3개 국가에 대한 관세 부과는 지난 11월 대선 이후 트럼프의 입을 통해서 여러 차례 나왔던 사안이었으며, 증시에서도 해당 수위의 관세는 선반영 해온 측면이 있다고 판단.

더욱이 미국 내 정치권, 기업, 유권자 여론 등에서 관세 반대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관세 부과의 법적 근거 불충분(국가비상경제권법), USMCA 협정 위반 여부 등 제약 사항들이 존재.

관세 부과를 증시 대응 시나리오에 반영해야 하는 것은 사실.

하지만 “관세부과 -> 맞대응 ->추가 관세 부과 및 타국가로 무역분쟁 전면 확산”이라는 최악 시나리오보다는 “일부 국가, 일부 품목 별 선 관세 부과 후 -> 협상”의 시나리오에 높은 확률을 부여할 필요.

3.

관세 이외에도 주 초반에는 1월 ISM 제조업 PMI, 주 후반에는 미국의 1월 고용 결과가 차주까지 금리 및 달러 경로를 통해 증시에 영향력을 높이는 이벤트가 될 것(신규고용 컨센 15.0만건 vs 12월 25.6만건, 실업률 컨센 4.1% vs 12월 4.1%).

지난 12월 고용 호조 이후 연준의 인하 전망이 크게 후퇴됨에 따라 12월 CPI 발표전까지 주식시장은 위험회피심리가 확산됐던 경험이 있기 때문.

또한 딥시크 사태 이후 엔비디아 등 AI 하드웨어 업종의 투심은 취약해진 만큼, AI 소프트웨어 업종은 기대감이 커진 상태이므로, 주중 알파벳, 아마존, 팔란티어 등 빅테크 업체들의 실적도 간과할 수 없는 대형 이벤트가 될 예정.

4.

한편, 주말 중 발표된 1월 한국 수출은 -10.3%(YoY)로 12월(+6.6%)에 비해 큰 폭 하락했으나,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라는 일시적 요인이 컸기에 컨센(-13.5%)보다 양호했다는 점은 안도 요인.

일평균 수출 역시 7.9%(YoY)로 12월(4.3%)에 비해 개선됐다는 점도 국내 증시의 하방 경직성을 부여해 줄 것으로 판단.

또 HD 현대중공업, KB금융, 신한지주 등 주도테마를 유지하고 있는 조선, 주주환원주들의 실적도 업종 순환매를 만들어낼 것으로 예상.

이상의 내용을 감안 시 이번주 국내 증시는 미국발 불확실성(트럼프 관세, 고용 등)에 노출되면서 변동성은 높아지겠으나, 주가 복원력으로 인해 지수 하단은 제한된 채 업종 별 차별화 장세를 연출해 나갈 전망.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18099
추천 0
2024.09.27

11월 5일 화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1
박종호
조회수 1247
추천 0
2024.11.05

2024년 11월 5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박종호
조회수 1238
추천 0
2024.11.05

★11월 05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박종호
조회수 1218
추천 0
2024.11.05

팔란티어($PLTR), 3Q 실적 해석

1
홍콩
조회수 936
추천 0
2024.11.05
팔란티어($PLTR), 3Q 실적 해석

2024년 미국 대선 한국 시간 기준 요약​

1
박종호
조회수 1244
추천 0
2024.11.05

24년 11월 5일 부동산 주요뉴스

1
홍콩
조회수 1053
추천 0
2024.11.05

11/05 미 증시, 대선 결전 앞두고 변동성 확대 속 하락 마감

1
홍콩
조회수 1117
추천 0
2024.11.05

(11/5)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1
홍콩
조회수 1201
추천 0
2024.11.05

오전브리핑

1
홍콩
조회수 1074
추천 0
2024.11.05

이 시각 헤드라인

1
홍콩
조회수 4558
추천 0
2024.11.05

짧은사설 5개로☕️세상읽기

1
홍콩
조회수 1216
추천 0
2024.11.05

24-11-04 해외선물 나스닥 차트VIEW

1
박종호
조회수 1647
추천 0
2024.11.04
24-11-04 해외선물 나스닥 차트VIEW

★ 시장을 보는 눈 ★

1
권 순찬
조회수 1152
추천 0
2024.11.04

11월 첫째주 증시전망

1
홍콩
조회수 1555
추천 0
2024.11.04

24년 11월 4일 부동산 주요뉴스

1
홍콩
조회수 1619
추천 0
2024.11.04
46 47 48 49 50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