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라이브

[02/20 데일리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키움 시황/ESG 이성훈]

1
홍콩
2025.02.20 추천 0 조회수 5225 댓글 0
공유

[02/20 데일리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키움 시황/ESG 이성훈]

------

19일(수) 미국 증시는 1월 FOMC 의사록에서의 금리 인하 신중론, 팔란티어 10%대 급락에도 불구하고 양적긴축(QT) 속도 조절 기대감에 따른 미국채 금리 하락에 장 막판 상승한 결과 3대 지수는 강보합권 마감(다우 +0.16%, S&P500 +0.24%, 나스닥 +0.07%).

-------

이 날 공개된 미 연준의 1월 FOMC 의사록에서는 트럼프 관세, 이민정책이 디스인플레이션 기조를 방해할 가능성이 언급되며 향후 금리 인하에 대해서 신중한 입장을 내비침. 결국, 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도 트럼프의 향후 정책 행보와 연동된 가운데 트럼프 2기의 세부적인 관세 정책 내용이 4월 이후에 발표된다는 점을 감안시, 3월까지 연준의 금리 인하 신중론은 지속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

전반적으로 견조한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 확인 필요 등 1월 FOMC 의사록 내용은 기존에 알려진 내용과 크게 차이는 없었지만, 부채한도 문제로 향후 연준의 양적 긴축(QT) 일시 중단 혹은 속도 조절 가능성이 언급된 점은 새로운 재료로 인식. 이에 따라, FOMC 의사록 발표 이후 미국채 10년물 금리 하락(4.53%), 미 주식시장 상승 등 금융시장 측면에서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

-------

전일 국내 증시는 메모리 업황 조기 반등 기대감에 따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대형 반도체주가 지수 상승을 견인한 가운데 업종별 순환매 기조 지속되며 낙폭과대 반도체 소부장 및 2차전지주도 동반 상승한 결과 양 지수는 상승 마감 (코스피 +1.70%, 코스닥 +0.60%).

금일 국내 증시는 단기간 200일선 돌파에 따른 피로감에 일부 급등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 출회될 수 있겠으나 증시 유동성 여건 개선에 힘입어 업종별 순환매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 특히, 전일 중국 정부가 8년 만에 한한령(한류 컨텐츠 금지령) 관련 규제를 5월에 전부 해제할 것이라는 내용이 발표된 가운데 금일에는 중국 관련 수혜주인 엔터, 게임, 화장품 등으로의 수급 로테이션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현재 2월 평균 코스피와 코스닥 거래대금은 각각 12조 원, 9.2조 원으로 지난해 하반기(코스피 10조 원, 코스닥 6.8조 원)와 비교해서 큰 폭으로 개선. 여기에 코스피, 코스닥 합산 국내 증시 신용잔고 금액도 연초 이후 1.8조 원 증가한 17.5조 원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증시 내 우호적인 유동성 환경이 지속되는 흐름. 이러한 유동성 개선효과와 더불어 기관 투자자가 주도 수급 주체로 나서며 업종 로테이션 빈번하게 나타나며 추가적인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

특히, 중국 이구환신 보조금 정책 효과, 디램 및 낸드 업황 조기 반등 기대감, K-칩스법 기재위 통과 등 다수의 호재에 힘입어 국내 증시 대장주 역할을 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볼 필요. 기존 AI발 내러티브가 아닌 레거시 반도체 업황의 반등 기대감도 지속적으로 반영될 경우 연초 이후 추세적인 자금 유입이 지속되지 못했던 국내 증시로의 외국인 수급도 유의미하게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

자료 링크 : https://bbn.kiwoom.com/rfSD6510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51110
추천 0
2024.09.27
194 195 196 197 198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