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라이브

미국發 관세전쟁 공포에… 코스피 2.5% 급락

1
항셍왕
2025.02.03 추천 0 조회수 134 댓글 0
공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4007565?sid=101

 

환율 장중 1472원까지 널뛰기도
코스피 外人 매도로 2500선 붕괴
日·대만 등 세계 금융시장도 여파

실물경제 직격탄 우려 불안 확산
加달러 22년새 최저… 페소 2% ↓
日 자동차·대만 기술株도 ‘휘청’
안전자산 쏠려… 달러는 고공행진

전문가 “관세 충격파 당분간 지속
트럼프 협상 카드 여부가 관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관세전쟁 공포’가 현실화하면서 국내외 금융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원·달러 환율은 한때 1470원대로 치솟았고, 코스피는 장중 2440선이 깨졌다. 트럼프의 관세 표적이 된 캐나다달러와 멕시코 페소 가치 역시 급락하고, 일본과 대만 증시도 출렁였다.

3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4.5원 오른 1467.2원(주간거래)에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1466.0원으로 출발한 뒤 상승 폭을 키워 장중 1472.5원까지 뛰었다가 오후 들어 상승 폭을 줄였다.
 

금융시장 출렁 미국발 ‘관세 전쟁’ 여파로 금융시장이 출렁인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된 현황판을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 종가보다 2.52% 하락한 2453.95에 거래를 마쳤다. 최상수 기자

장중 1470원대는 지난달 13일 이후 3주 만이다. 지난달 24일 1431.3원에 마감한 환율은 설 연휴 휴장한 후 31일에 이어 이날까지 2거래일간 40원이나 뛰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안전자산인 달러 값을 끌어올린 영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25%(캐나다산 석유·천연가스는 10%), 중국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고 미국 제품에 보복관세를 물리겠다고 발표하는 등 맞대응에 나서고 있다.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하면서 증시에서 외국인들은 거센 매도세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 대비 2.52% 하락한 2453.95에 장을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 대비 48.63포인트(1.93%) 내린 2468.74로 출발한 뒤 낙폭을 키워 오전 한때 2439.89까지 밀리기도 했다. 코스피가 장 중 2440선 아래로 내려온 것은 지난달 3일 이후 한 달 만이다. 코스닥지수도 3.36% 내린 703.80으로 주간거래를 마감했다. 외국인이 코스피와 코스닥을 각각 8723억원, 1030억원 순매도하며 하락을 주도했다.

이수정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관세는 트럼프의 협상 전략일 뿐이라는 시각이 우세했으나 시장은 실물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수석연구원은 “트럼프가 중국에 10% 추가관세 이후 더 부과할 가능성이 아직 남아 있고, 유럽연합(EU)에도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등 관세 충격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전망했다. 그는 “(환율) 위험 강도나 방향은 이번 주가 가장 고비”라고 덧붙였다.
 
 

폭주하는 ‘트럼프의 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앤드루스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럽연합(EU)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해 말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의 관세 폭탄은 원화뿐 아니라 대부분 국가의 통화 가치를 끌어내렸다.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의 수입품에 10~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약속을 강행하겠다고 밝힌 지난달 30일 뉴욕 외환시장에서 캐나다달러는 2003년 이후 2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멕시코 페소도 이날 하루에만 1.1% 내렸고 5거래일 하락률은 2%에 달했다.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호주 달러도 1% 정도 하락했다. 중국 위안화는 역외시장에서 약 0.5% 약세를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세계 주요국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지난달 13일 109.39까지 올라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31일에도 108.37로 마감하는 등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공격에 다른 나라들이 보복 조치에 나서면 당분간 달러 강세와 미국 국채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달러 등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강해지면서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들의 이탈이 가속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앞서 2018년 트럼프 행정부 1기 때에도 관세 부과 조치가 시행되면서 코스피가 급락한 바 있다. 당시 코스피는 2017년 말 2467.49에서 2018년 말 2040.04로 17.28% 하락했는데,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두 번째로 큰 하락 폭이었다.
 
 

일본 닛케이지수 하락. AP연합뉴스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증시도 이날 약세를 이어갔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일본 증시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는 트럼프의 관세 부과 영향으로 자동차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 오전에만 2.1% 하락했다. 토요타자동차가 4%, 혼다자동차는 6% 각각 떨어지는 등 자동차 제조업 지수가 4.8% 급락해 약세를 주도했다. 대만 증시도 미국의 관세 충격에 기술주가 4%대 급락세로 출발하며 오전 한때 5% 넘게 내리기도 했다. 중국 증시는 설 연휴로 지난달 28일부터 4일까지 휴장한다.
 
지난 주말 미국 뉴욕증시 3대 주요지수도 트럼프의 관세 부과 소식이 확산하며 하락 마감했다. 31일(현지시간) 다우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각각 0.75%, 0.5% 하락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도 0.28% 내렸다.
 
국내외 금융시장은 당분간 고통스러운 조정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이나, 진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수석연구원은 “관세 전쟁으로 미국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미 미국도 선물시장이 1.6% 빠지고 있다”면서 “트럼프가 2018년처럼 관세를 무역 협상의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어떻게, 얼마나 빨리 협상을 타결할지가 위험회피 심리를 완화시키는 방향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도 “관세 부과는 증시에서 선반영해온 측면이 있고, 미국 정치권과 기업, 유권자 여론 등에서 관세 반대 목소리가 높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 부과를 증시 대응 시나리오에 반영해야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관세부과-맞대응-추가 관세 부과 및 타국가로 무역분쟁 전면 확산’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보다는 ‘일부 국가, 일부 품목별 선관세 부과 후-협상’의 시나리오에 높은 확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18878
추천 0
2024.09.27

[01월 02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1
홍콩
조회수 7577
추천 0
2025.01.02

📮 2025년 1월 2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1
항셍왕
조회수 822
추천 0
2025.01.02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1월 2일)

1
항셍왕
조회수 1047
추천 0
2025.01.02

★★01월 02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970
추천 0
2025.01.02

25-01-02 해외선물 항셍 차트VIEW

1
박종호
조회수 9261
추천 0
2025.01.02

[뉴욕증시 하락]

1
홍콩
조회수 8550
추천 0
2025.01.02

12월 30일 월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1
항셍왕
조회수 926
추천 0
2024.12.30

★★12월 30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1092
추천 0
2024.12.30

2024년 12월 30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항셍왕
조회수 984
추천 0
2024.12.30

[뉴욕증시 하락]

1
홍콩
조회수 2700
추천 0
2024.12.30

나스닥관점 몇자 적어보겠습니다.

1
박선호
조회수 2700
추천 0
2024.12.27

[12월 27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1
홍콩
조회수 1260
추천 0
2024.12.27

★★12월 27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746
추천 0
2024.12.27

📮 12월 27일 금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1
항셍왕
조회수 981
추천 0
2024.12.27

[뉴욕증시 혼조]

1
홍콩
조회수 2250
추천 0
2024.12.27
13 14 15 16 17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