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라이브

[2/10,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불확실성에 대한 증시 적응력”

1
홍콩
2025.02.10 추천 0 조회수 137 댓글 0
공유

[2/10,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불확실성에 대한 증시 적응력”

-------

<Weekly Three Points>

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1월 고용지표를 중립 수준으로 소화했지만, 소비자 기대인플레이션 급등,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등으로 1%대 약세로 마감(다우 -1.0%, S&P500 -1.0%, 나스닥 -1.4%).

b. 관세에 대 증시 적응력은 개선되도 있지만, 10~11일 중 상호관세 발표 시점과 12일 CPI 이벤트가 맞물리면서, 증시 전반에 걸쳐 단기적인 인플레이션 노이즈를 주입시킬 수 있음에 대비

c. 국내 증시는 트럼프 관세, 미 CPI 등 미국발 이벤트 이외에도, MSCI 반기 리뷰, 옵션만기일 등 수급 이벤트도 치러야하는 만큼, 지수 방향성은 정체된 채 개별 업종 및 종목 장세 예상

-------

0.

한국 증시는 1)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여부, 2) 미국의 1월 CPI, 소매판매 등 주요 경제지표, 3) 파월 의장의 상하원 청문회 발언, 4) 카카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국내 주요 기업 실적, 5) MSCI 분기 리뷰 및 옵션 만기일에 따른 수급 변동성 등에 영향 받을 전망(주간 코스피 예상 레인지 2,460pt~2,580pt).

1.

1월 비농업 신규고용(14.3만건 vs 컨센 16.9만건)은 부진한 반면, 실업률(4.0%, 컨센 4.1%), 시간당 평균 임금(4.1%YoY, 컨센 3.8%)은 예상보다 높게 발표되는 등 혼재된 결과를 기록.

물론 해당 지표 발표 이후 달러, 금리의 가격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높아지기는 했지만, 증시는 해당 지표 결과를 중립 수준으로 해석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음.

그러나 트럼프 정부의 관세 발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으로 1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이 4.3%로 전월(3.3%) 및 컨센(3.3%)을 대폭 상회했다는 소식이 증시 반전을 초래.

2.

이에 더해 트럼프가 각국들을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는 점이 하락세를 심화시켰던 상황.

(ex: 미국이 추진하는 상호관세는 상대방 국가가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 만큼 미국도 동일한 수준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

로이터에 의하면, 현재 미국은 평균적으로 다른 국가들에게 3%대 관세율을 적용하는데 반해, 중국(8%), 독일(5%), 인도(17%), 캐나다(4%), 멕시코(7%), 한국(13%, 단, 한미 FTA 체결로 미국산제품 99%에 대해 0% 관세)등 다른 국가들은 미국 보다 높은 관세율을 부과하고 있는 상황.

11~12일 중 상호관세가 발표될 예정이며, 10일부터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알려지는 등  관세 뉴스플로우가 지난 3일과 같은 주가 하방 압력을 만들어낼 소지.

현재 트럼프 정부의 전략은 “선 관세 부과 후 협상 유도”임을 감안 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 상대 국가의 보복관세 -> 미국의 추가 관세”로 이어지는 전면적인 관세 전쟁이 실체화 될 가능성은 낮게 가져갈 필요.

향후에도 관세는 주가 방향성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보다는 진폭만 만들어내는 데 국한될 전망.

3.

한편, 1월 고용의 해석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향방도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 시, 12일 미국 1월 CPI의 주가 민감도는 높아질 전망.

일단 블룸버그 데이터 상 헤드라인과 코어 CPI의 컨센서스는 각각 2.9%(12월 2.9%), 3.2%(12월 3.2%)로 형성되는 등 1월에 비해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 자체는 높지 않은 상황.

여기서 CPI 발표 시기가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시기와 맞물려 있으므로, CPI가 컨센을 하회하더라도 단기적인 관세 노이즈가 생성될 수 있음에 유의.

11~12일 잇따라 예정된 상하원 청문회에서의 파월 의장 발언도 중요 이벤트.

해당 청문회에서 파월 의장은 반기 통화정책을 보고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시장은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한 연준의 인플레이션 전망 변화 여부, 3월 FOMC에서의 금리 결정에 대한 힌트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4.

증시 내부적으로는 실적 시즌 후반부에 진입하면서 전반적인 실적시즌 모멘텀은 소강될 예정이나,

카카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최근 증시 유망 테마(소프트웨어, 방산)와 관련된 실적 이벤트가 남아있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

MSCI 반기 리뷰, 옵션 만기일 등 수급 변동성을 유발하는 일정도 소화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주 국내 증시는 지수 방향성은 정체된 채 업종 별 순환매 장세의 성격이 짙을 것으로 판단.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WDetailView?sqno=719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39794
추천 0
2024.09.27
184 185 186 187 188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