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라이브

Austan Goolsbee 시카고 연은 총재(중립, 투표권 있음)

1
홍콩
2025.02.22 추천 0 조회수 1950 댓글 0
공유

Austan Goolsbee 시카고 연은 총재(중립, 투표권 있음)

1. 불확실성이 증가하기 전까지 물가는 2%로 순조롭게 복귀하고 있었음

2. 만약 관세가 물가를 자극한다면, 연준은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 공급 충격이 잠재적인 우려 요인

3. 지금은 안정적으로 완전고용 상태가 지속되는 국면이고, 이 상황은 지속될 것

4. 신용 환경은 적절하게 긴축적(fairly tight)

5. 관세가 코로나만큼의 충격을 불러온다면 그 만큼의 대비가 필요할 것(the more tariffs look like a COVID-sized shock the more nervous you should be)

6. 다만, 2018년 당시 관세는 물가에 큰 충격을 주지 못했음

7. 대규모 불법이민자 추방이 현실화 되면, 그 때 생기는 새로운 일자리 개수가 고용시장에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할 것


Raphael Bostic 아틀란타 연은 총재(중립, 투표권 없음)

1. 불확실성이 점차 확산되고 있지만 이것 때문에 물가가 급등할 가능성은 제한적

2. 물가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과 전망은 1) 주거물가는 안정세가 이어질 것이고, 2) 기대인플레이션은 적절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3) 경로는 울퉁불퉁하겠지만 결국에는 2%로 복귀할 것

3. 기업들은 관세로 인한 수입가격 상승을 소비자들에게 전가시킬 준비 중

4.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지만 여전히 연내 2회 인하는 가능

5. 고용시장은 구직이 어려워지는 등 둔화 징후가 나타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안정적

6. 양적 긴축 속도조절 논의는 부채한도 하나의 이슈 때문이 아니라 과잉 긴축을 예방해야 하기 때문. 대차대조표 정책이 불안정의 원인이 되어서는 안됨

7. 고용 충격 없는 물가 목표 달성이 현안 과제

8. 기준금리 인하 횟수에 따라 시장은 요동칠 전망


Alberto Musalem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매파, 투표권 있음)

1. 물가는 2%로 결국 복귀할 것. 그러나 상방 리스크가 우세한 상황

2. 정책 변경 이전에 물가 안정에 대한 확신이 필요. 지금은 신중한 정책 운영이 필요한 시점

3. 기대인플레이션은 상승. 이 수준이 유지될 경우 통화정책 운영에 난관이 있을 것

4. 생산성 향상은 더 이상 일시적이라고 볼 수 없음. 지금부터는 향상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봐야 함

5. 산업환경은 안정적. 이민정책으로 노동 공급 부족이 일어날 가능성은 존재

6. 관세 관련 물가 충격은 연쇄적이지 않을 것(one time increase in tariffs is one time increase in price levels)

7. 관세정책은 건수별로 그 영향과 충격에 대한 연구가 필요

8. 불확실성은 아직 경제에 주요 리스크가 아님

9. 당장의 기대인플레이션은 고정되어 있음


Adriana Kugler 연준 이사(중립, 당연직)

1. 고용의 하방 압력은 감소, 물가의 상방 압력은 유지 중. 물가 둔화 경로는 울퉁불퉁할 것. 통화정책은 적절하게(modestly) 긴축적

2. 1월 PCE, Core PCE 상승률은 각각 2.4%, 2.6% 예상. 아직 가야할 길이 남아있다는 것

3. 당분간은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

4. 관세정책의 여파를 다각도에서 분석 중. 관세는 물가를 끌어올리겠지만 그 정도는 불명확. 일단은 지켜보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지

5. 언젠가는 양적 긴축이 중단되어야겠으나 준비금은 지금도 매우 풍부(still above the ample)한 수준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52940
추천 0
2024.09.27
138 139 140 141 142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