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미래에셋증권 김석환>
(2/11)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트럼프 관세 발표에도 나스닥 강세
# Key Takeaways
- 주요 지수 상승: 나스닥 1% 이상 상승, S&P 500, 다우, 러셀 모두 상승
- 비트코인 투자 수요 일본에서 급등, 메타플래닛 비트코인닷컴 호텔로 리브랜딩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발표, 미국 제조업 수혜 기대감
# Summary
미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부과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요 지수 모두 상승세로 마감함.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67.01포인트(0.38%) 상승한 44,470.41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0.45포인트(0.67%) 오른 6,066.44를 기록함.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90.87포인트(0.98%) 상승한 19,714.27에 마감함. 특히 나스닥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날임.
이는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미국 내 전통 산업군의 수혜 기대감에 주목한 결과로 분석됨. 이 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방침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비트코인 관련 소식으로는 일본 메타플래닛사가 도쿄의 한 호텔을 비트코인 호텔로 리브랜딩한 것이 화제이며, 일본 내 비트코인 투자 역시 급증하고 있는 상황임. 시장은 이번 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의회 증언과 함께 다가오는 인플레이션 및 소비자물가지수 등의 주요 경제 지표 발표에 주목하고 있음. 이렇듯 글로벌 증시는 트럼프 관세 발표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에 의해 변동성을 보였지만, 이날은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감. (다우 +0.38%, 나스닥 +0.98%, S&P500 +0.67%, 러셀2000 +0.36%)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211064458503_3533
# 특징종목
엔비디아(+2.9%)는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로 인해 기술 지수 내 큰 상승세를 보임. 투자자들은 2024년에 더 많은 판매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맥도날드(+4.8%)는 특히 미국 내 매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분기 실적 발표와 새로운 가치 전략이 주가 상승을 촉진함. 테슬라(-3.0%)는 최근 사이버트럭의 사고 논란과 비트코인 보유 상황 변화, 기술주의 전반적인 약세로 인해 주가 하락을 경험함.
아마존(+1.7%)은 AI 투자 관련 긍정적인 전망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 알파벳(+0.6%)은 구글의 AI 전략 관련 긍정적인 뉴스가 주가에 호재로 작용함. 몬데이닷컴(+26%)는 기대 이상의 4분기 실적과 AI 전략의 성공으로 큰 상승세를 보였으며, 로크웰오토메이션(+13%)는 강력한 주문 증가와 2025년 수익 전망 유지가 긍정적으로 작용함.
온세미컨덕터(-8.2%)은 반도체 산업 내 경쟁 심화로 인해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을 보였음. BP(+6.7%)는 Elliott Management의 지분 참여 공시로 전략적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어 상승함. 모빌아이(+11.8%)는 2025년까지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주목받았고, 리프트(+6.7%)는 Mobileye와 협력해 로보택시 출시 계획을 발표하며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이끌어냈음.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4.50%로, 소폭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CPI와 실업수당 청구 건수와 같은 주요 경제 지표 발표를 대기하고 있음.
외환 시장에서는 달러인덱스가 108.31로 일일 0.25% 상승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신규 관세 위협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하여 미 달러 강세를 지속시키고 있음. EUR/USD는 1.03로 0.20% 하락했으며, 미국과 유럽 간 무역 긴장이 환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상품 시장에서 WTI 원유는 전일 대비 2.01% 상승한 72.43 달러로 종료, 이는 미국의 관세 조치와 수출 관련 불확실성 때문에 에너지원 수급에 대한 우려로 가격이 반등했음을 시사함. 금 가격은 1.63% 오른 온스당 2906.21 달러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음을 보여주고 있음. 또한, 팔라듐은 2.78% 상승했으며, 이와 같은 귀금속의 강세는 경기 둔화 우려 가운데 안전한 투자처로서의 매력이 부각된 결과로 해석됨. 요약하면, 현재 시장은 무역 갈등과 경제 지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는 채권, 외환, 상품 전반에 걸쳐 가격 변동을 야기하고 있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해외선물 정보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ASML 2024년 3Q 실적 하이라이트
![ASML 2024년 3Q 실적 하이라이트](/upload/fd281642ded74965bcca260b0141f1ca.webp?thumbnail)
시황정보공유입니다.
시황정보공유입니다.
시황정보공유입니다.
시황정보공유입니다.
24-10-16 해외선물 항셍 차트VIEW
![24-10-16 해외선물 항셍 차트VIEW](/upload/e564bbdfffc147d88a53020e620db361.webp?thumbn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