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1 미 증시,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앞두고 종목 차별화 속 차익 매물 확대되며 하락
<미래에셋증권 서상영>
12/11 미 증시,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앞두고 종목 차별화 속 차익 매물 확대되며 하락
미 증시는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테슬라(+2.87%)와 알파벳(+5.32%) 등이 견고한 모습을 보이며 상승하기도 했지만, TSMC(-3.63%) 11월 매출 발표 후 반도체 업종이 약세를 보이며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 한편,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군이 강세를 보였으나, 우주개발 관련주들은 부진을 보이는 등 테마 종목군들도 차별화가 진행. 대체로 시장은 종목 차별화 장세가 지속되며 장 마감 앞두고 차익 매물 확대되며 하락 마감(다우 -0.35%, 나스닥 -0.25%, S&P500 -0.30%, 러셀2000 -0.42%,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47%)
*변화 요인: 시장 규정, 차별화, 테마장세
트럼프 당선 후 소기업 낙관지수는 지난 2016년과 비슷하게 법인세 인하 기대를 반영하며 93.7에서 101.7로 크게 상승. 향후 경제에 대한 낙관론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여기에 지난 3분기 S&P500의 매출 성장은 2022년 1분기 이후 가장 빠른 전년 대비 4.6%(에너지 제외)를 기록. 대체로 팬데믹 이전인 2018~19년 성장 속도와 비슷해 정상화로 돌아갔다고 볼 수 있음. 물론, 경제를 견인하는 소비에서 저소득층은 여전히 부진한 가운데 소매유통업종의 실적 발표 결과를 보면 결국 중산층까지 합리적인 소비로의 전환이 진행되는 등 향후 소비에 대한 우려가 높다는 점은 주목. 이는 향후 기업들의 매출 성장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지 않을 수 있기 때문.
그러나 연초 대비 S&P500이 27%, 나스닥이 32% 상승하는 등 주가 지수는 큰 폭으로 상승. 이 결과 시장 조사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S&P500의 12개월 Fwd PER이 10년 평균인 18.1배를 크게 상회한 22.3배를 기록하는 등 밸류에이션 부담이 확대. 이런 가운데 트럼프로 인해 정책 불확실성과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키울 것으로 시장은 전망. 특히 중국을 비롯해 유럽과의 무역분쟁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 집중.
이에 최근 시장은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호재성 재료를 기반으로 개별 종목, 업종에 대한 집중(쏠림)이 진행되는 일명 ‘테마 장세’, 그리고 ‘차익 실현’ 이슈에 더 주목하는 모습으로 전환된 양상을 보이며 극단적인 차별화 경향을 보임. 시장은 이러한 경향이 트럼프 취임 후 정책 발표(법인세 인하, 관세 부과 등)시기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
오늘도 알파벳(+5.32%)의 힘으로 양자 컴퓨터 관련 종목군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개별 종목 실적 등을 기반으로 반도체 업종에 대한 차익실현 매물이 집중. 여기에 테슬라(+2.87%)가 목표주가 상향 조정 소식에 급등한 반면, 여타 전기차 관련 종목군은 트럼프 정책에 대한 우려로 하락. 엔비디아(-2.69%) 등 반도체 업종도 차익실현 매물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는 등 종목/업종 옥석 가리기 또는 차별화가 진행.
댓글
해외선물 정보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24년 10월 24일 부동산 주요뉴스
특징종목
한국증시
뉴스시황
오전시황
ITK 오늘의 한마디
주요인사발언
10월 24일 굿모닝MBN 주요뉴스
테슬라 3Q24 실적발표 (Aft +9%)

24-10-24 해외선물 항셍 차트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