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라이브

*한국 증시 관련

1
박종호
2024.10.01 추천 0 조회수 7660 댓글 0
공유

MSCI 한국 증시 ETF는 3.59%, MSCI 신흥 지수 ETF는 1.61%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85% 하락했지만, 러셀2000지수는 0.24%, 다우 운송지수도 0.67% 상승. KOSPI 야간선물은 0.70% 하락. 달러/원 환율은 전일 정규장에서 1,307.8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장은 1,316.80원을 기록.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17.60원을 기록


*FICC: 국채 금리, 파월 발언 후 상승 확대

국제유가는 OPEC+ 국가들의 감산 축소(공급 증가)로 그동안 하락이 진행 됐지만, 중국의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가 유입되자 하락 요인을 상쇄하며 보합권 등락. 더불어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등 중동 리스크에 대한 불안도 상승 요인. 다만, 달러 강세가 확대되자 매물 소화 미국 천연가스는 상승 했는데 이스라엘의 레바논 국경 남부 지역 공격 임박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

달러화는 변화가 제한된 모습을 보이다 파월 연준의장이 경기의 견고함, 금리인하 속도를 제어할 것을 시사하자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폭이 확대. 엔화는 지난 금요일 신임 총리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며 달러 대비 큰 폭으로 강세를 보였지만 월요일에는 되돌림이 유입되며 달러 대비 약세. 유로화는 라가르드 ECB 총재가 인플레 완화가 확실해지고 있고 10월 회의에서 이를 반영할 것이라고 언급하자 달러 대비 약세. 역외 위안화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인 가운데 브라질 헤알, 등도 약세

국채 금리는 중국의 부동산 부양책에 의한 중국 경제가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 이는 중국의 디플레이션 완화 기대를 높인 데 따른 것으로 추정. 물론, 여전히 연준 위원들의 더 많은 금리 인하를 언급하자 금리 상승은 제한된 가운데 되돌림이 진행. 한편, 장 후반 파월 연준 의장이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느린 금리인하 기조를 시사하자 상승 확대(채권가격 하락)

금은 달러 강세와 파월 의장의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하자 하락. 구리 및 비철금속은 혼조 양상을 보임, 중국 정부의 부동산 부양책을 발표하자 대부분의 품목이 상승을 했지만, 구리와 알루미늄은 차이 실현 매물이 출회 되며 하락 전환. 그외 품목은 상승을 반납하며 소폭 상승. 대두는 중국의 구매 소식에도 달러 강세 여파로 하락. 밀도 하락. 반면, 옥수수는 주간 작물 생육 보고서를 기다리며 허리케인 영향을 반영하며 상승.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29507
추천 0
2024.09.27

딥시크, 8일부터 'V3' 사용료 5배 인상...성능·비용 모두 우위 잃어

N
1
홍콩
조회수 129
추천 0
49분전

美 법원 "정부효율부의 재무부 시스템 접근 금지" 제안

N
1
홍콩
조회수 143
추천 0
50분전

Andrew Bailey 영란은행 총재

N
1
홍콩
조회수 927
추천 0
3시간전

유진투자증권 허재환입니다.

N
1
홍콩
조회수 715
추천 0
3시간전

💌 이 시각 헤드라인

N
1
홍콩
조회수 1256
추천 0
3시간전

<2/7 Bloomberg>

N
1
홍콩
조회수 1389
추천 0
3시간전

[2월 7일 마케팅 뉴스클리핑] 중국 AI 딥시크 접속 차단 확산 외

N
1
홍콩
조회수 1214
추천 0
3시간전

[키움 디지털자산 김현정]

N
1
홍콩
조회수 1145
추천 0
3시간전

[뉴욕증시 혼조]

N
1
홍콩
조회수 1948
추천 0
3시간전

Fitch의 한국 계엄 관련 코멘트

N
1
홍콩
조회수 2038
추천 0
2025.02.06

[02월 06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N
1
홍콩
조회수 2105
추천 0
2025.02.06

★★02월 06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N
1
항셍왕
조회수 1090
추천 0
2025.02.06

2025년 2월 6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N
1
항셍왕
조회수 1112
추천 0
2025.02.06

SK이노, E&S 합병효과에 4분기 흑자전환 성공

N
1
항셍왕
조회수 1153
추천 0
2025.02.06

'딥시크 차단' 정부 부처 전방위 확산…금융기관도 동참

N
1
항셍왕
조회수 1111
추천 0
2025.02.06
1 2 3 4 5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