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라이브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2/3 Bloomberg>

1
홍콩
2025.02.03 추천 0 조회수 170 댓글 0
공유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2/3 Bloomberg>

1) 글로벌 관세전쟁 서막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추가 10%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다만 석유와 전기를 포함한 캐나다산 에너지는 10% 관세가 적용. 트럼프가 “미국인을 보호해야 한다”며 1970년대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을 발동해 해당 조치를 4일부터 실시하기로 하면서 막판 협상 여지를 남겨뒀지만, 상대 국가들이 보복을 예고함에 따라 무역 전쟁이 시작되는 분위기.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550억 캐나다달러(1,060억 달러)에 상당하는 미국산 제품에 대해 25% 관세로 맞대응하겠다고 밝혔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안보와 이민, 펜타닐 위기에 대한 협력이 최선의 길이라면서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플랜B’ 가동을 지시. 중국은 “상응하는 대응 조치”를 예고했지만 당장 구체적 보복을 발표하기 보다는 일단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제소하겠다고 밝혔음

2) 보우먼, ‘인플레 추가 진전 원해’
미셸 보우먼 연준 이사는 기준금리를 더 낮추기 전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추가 진전을 보고 싶다는 견해를 밝혔음. 보우먼은 “금리를 추가로 조정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진전이 재개되는 모습을 보고 싶다”고 발언. 또한 “경제의 지속적인 강세와 1년 전보다 훨씬 높은 주가를 고려할 때 전반적인 금리와 차입 비용의 수준이 유의미한 억제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 같지 않다”고 진단. 이는 현재 정책이 중립수준보다 높아 “유의미하게 제약적”이라는 파월 연준 의장의 평가와 다소 엇갈림. 또한 보우먼은 “경제가 어떻게 반응할 지에 대한 더 큰 확신과 더불어 실제 정책과 그 시행 방식에 대해 보다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

3) 美 기저물가, 연준 인하 기대 지지
연준이 선호하는 기저 물가 지표가 지난해 12월에도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월비 0.2%, 전년 동월 대비 2.8% 각각 상승해 예상치에 부합. 인플레이션 궤적을 좀더 잘 보여주는 3개월 연율 기준으로는 근원 PCE 물가 상승률이 7월 이후 가장 낮은 2.2%로 둔화. 이번 데이터는 지난 몇 달 동안 잠시 가속됐던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파월 의장은 지난주 FOMC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하를 재개하기 전에 물가가 2% 목표에 더 근접하고 있음을 확인해야 한다고 언급

4) 獨·佛 완만해진 물가에 유로 패리티 베팅
프랑스와 독일의 인플레이션이 시장 전망을 하회한 것으로 나오자 투자자들이 유럽과 미국의 금리 격차 확대에 베팅하면서 유로화를 압박. 트레이더들은 유럽중앙은행(ECB)이 연말까지 세 번의 추가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네 번째 인하 가능성도 한때 30% 가량 프라이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을 실제로 이행한다면 ECB는 더 큰 폭의 인하를 단행해야 할 수도 있음. 유로-달러 환율은 장중 한때 0.3% 밀려 거의 2주래 저점을 기록했고, 독일 2년물 국채 금리는 2.1%로 9bp 넘게 하락. JP모간 프라이빗 뱅크의 Matthew Landon은 “이번 주 중앙은행들의 회의는 정책의 차이를 확인시켰다”고 지적. 관세는 그 격차를 더욱 벌릴 수 있으며, “유로-달러 패리티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다시 점화될 수 있다”고 진단

5) BofA, ‘이젠 래그니피센트 7’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Michael Hartnett은 미국 대형 기술주가 올해는 시장을 후행하는 ‘래그니피센트(Lagnificent) 7’에 오를 전망이라며, 비싼 미국 주식 대신 유럽과 일본 등 저렴한 해외 주식을 사라고 조언. Hartnett은 2022년 후반 이후 S&P 500 지수의 70% 랠리를 이끈 7대 기술주를 묶어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Seven)’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해 유행시켰음. 특히 인공지능(AI)에 대한 지출이 정점에 도달함에 따라 이같은 포지션이 위험에 처했다고 경고. 그의 견해는 소수 의견으로, 아직까지는 S&P 500 지수가 랠리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월가 내 컨센서스
(자료: Bloomberg News)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19879
추천 0
2024.09.27

[하나증권 퀀트 이경수] 희망적 연초 분위기? 차분하게 대응하기

1
홍콩
조회수 786
추천 0
2025.01.08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1/8 Bloomberg>

1
홍콩
조회수 952
추천 0
2025.01.08

모건스탠리) 삼성전자 목표가 ₩65,000

1
홍콩
조회수 684
추천 0
2025.01.08

AWS, 조지아에 AI 인프라 확장 위해 110억 달러 투자

1
홍콩
조회수 883
추천 0
2025.01.08

[뉴욕증시 하락]

1
홍콩
조회수 5275
추천 0
2025.01.08

[01월 07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1
홍콩
조회수 786
추천 0
2025.01.07

📮 25년 1월 7일 화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1
항셍왕
조회수 789
추천 0
2025.01.07

★★01월 07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645
추천 0
2025.01.07

2025년 1월 7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항셍왕
조회수 659
추천 0
2025.01.07

Thomas Barkin 리치몬드 연은 총재(중립, 투표권 없음), Adriana Kugler 연준 이사(중립, 당연직)

1
홍콩
조회수 745
추천 0
2025.01.07

젠슨 황, 1월 중 대만 방문으로 AI 공급망 분위기 재점화 – CES 연설 후 숨가쁜 일정

1
홍콩
조회수 774
추천 0
2025.01.07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1/7 Bloomberg>

1
홍콩
조회수 722
추천 0
2025.01.07

25-01-07 해외선물 항셍 차트VIEW

1
박종호
조회수 8456
추천 0
2025.01.07

[뉴욕증시 상승]

1
홍콩
조회수 2102
추천 0
2025.01.07

[01월 06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1
홍콩
조회수 721
추천 0
2025.01.06
11 12 13 14 15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