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라이브

시황정보공유입니다.

1
박선호
2024.10.04 추천 1 조회수 4058 댓글 0
공유

9월 US Emploment Preview

9월 FOMC 미팅 이후 기자회견에서 파월은 노동시장의 모니터링 요소를 실업률 / 경활률 / 임금상승률 / 공고율 / 고용률 / 퇴사율로 총 6가지를 꼽았음

여전히 실업률이 가장 중요하고, 9월 컨센서스는 4.2%. 전월 기록했던 4.3%를 초과하는 기관 추정은 아예 없음. 만일 4.3%를 찍는다면 11월 50bp 인하에 대한 명분이 없는 것은 아님

비농업(NFP)은 현재 인하를 방해하지 않는 수준에 그치고 있음. 중립 NFP는 장기 100K 레벨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중립 수준을 향해 매달 3~5K 속도로 감소하고 있음

잠재적으로 NFP에 미칠 영향은 파업. 미 동부 항만 파업은 10월에 들어 시작했기 때문에 이번 9월에는 영향이 제한적. 문제는 보잉 파업이 9월 13일에 시작해 33K 일자리를 줄였다는 점. 서베이 기간에 포함되지 않아 9월에는 아예 반영되지 않을 수 있으나, 10월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결과적으로 8월 JOLTs에서도 드러났듯 노동시장의 턴오버(순환)는 감소하는 추세. 애틀란타 연은의 Wage Tracker에서도 드러나는데,  이직자의 임금상승률이 기존 근로자의 임금상승률을 하회하기 시작했다는 것이 근거 중 하나. 이를 보면 노동시장의 주도권이 근로자가 아닌 고용자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렇다면 노동시장의 하방역학이 경기침체를 대변하는가에 대한 명제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음. 23년 중순 경기하락 사이클이 가동되기 전과 현재를 비교해보면 가장 큰 차이점은 '성장 잠재력' 유무. 그때와 현재는 전반적 궤도가 크게 다르지 않으나 경제가 상방으로 갈만한 잠재력이 현재로서는 부족함

이로 인해 하방편향적인 경향이 있으며 GDP Growth는 내년에 잘해봐야 2% 중반, 못하면 1% 초반까지도 쭉 빠질 수 있는 상황임. 이 경로를 단순히 경제중립으로 향하는 정상화로 볼지, 침체의 초입인지는 더 지켜봐야 할 문제이지만 정상화에 가깝다고 판단함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14322
추천 0
2024.09.27

[10월 24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1
권 순찬
조회수 4784
추천 0
2024.10.24

10월 24일 중국 증시 시황

1
권 순찬
조회수 1273
추천 0
2024.10.24

테슬라실적

1
홍콩
조회수 1043
추천 0
2024.10.24
테슬라실적

24년 10월 24일 부동산 주요뉴스

1
홍콩
조회수 1172
추천 0
2024.10.24

특징종목

1
홍콩
조회수 1192
추천 0
2024.10.24

한국증시

1
홍콩
조회수 1090
추천 0
2024.10.24

뉴스시황

1
홍콩
조회수 1164
추천 0
2024.10.24

오전시황

1
홍콩
조회수 1158
추천 0
2024.10.24

ITK 오늘의 한마디

1
홍콩
조회수 1401
추천 0
2024.10.24

주요인사발언

1
홍콩
조회수 1308
추천 0
2024.10.24

10월 24일 굿모닝MBN 주요뉴스

1
홍콩
조회수 1178
추천 0
2024.10.24

테슬라 3Q24 실적발표 (Aft +9%)

1
김희찬
조회수 1662
추천 0
2024.10.24
테슬라 3Q24 실적발표 (Aft +9%)

24-10-24 해외선물 항셍 차트VIEW

1
박종호
조회수 1288
추천 0
2024.10.24
24-10-24 해외선물 항셍 차트VIEW

장 초반 국내 증시

1
권 순찬
조회수 2934
추천 0
2024.10.24

하이닉스실적발표 Q&A

1
홍콩
조회수 1181
추천 0
2024.10.24
54 55 56 57 58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6433ceeaf2c14bdf9f179d8fdf59467f.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